최근 ARS(자동응답시스템) 전화를 이용, 우체국을 사칭하는 보이스 피싱이 극성을 부리고 있어 서대문우체국이 이에대한 예방을 위해 홍보에 나섰다. 사기범 들은 허위로 소포가 도착 또는 반송예정이라며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신용카드가 발급됐다면서 사기조직 대포통장으로 계좌이체를 유도하는 전화사기를 전국 각처에서 벌여 이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를 당부했다. 보이스피싱의 구체적 사례는 아래와 같다.
■ 사례1 : 개인정보 수집
① 자동응답시스템(ARS) 전화를 이용하여, “○○우체국입니다. 택배가 도착하여 반송 예정입니다. 다시 듣고 싶으시면 0번, 안내를 원하시면 9번을 눌러주십시오”라는 안내멘트가 나옴.
② 9번을 누르면 안내하는 사람이 집주소, 전화(휴대폰)번호, 주민등록번호, 신용카드번호,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물어본 다음 전화를 끊음 (0번을 누르면 응답없이 끊김, 발신자 번호는 ‘000000’으로 나타남)
※ 국제전화를 이용, 전화상태가 불량하며, 한국말 억양이 이상
■ 사례2 : 계좌이체 유도
① 자동응답시스템(ARS) 전화를 이용하여, “○○우체국입니다. 고객이 신청하신 신용카드가 도착하였으나 부재로 인해 반송 예정입니다. 다시 듣고 싶으시면 0번, 안내를 원하시면 9번을 눌러주십시오”라는 안내멘트가 나옴
② 9번을 누르면 ○○우체국 직원을 사칭하여 고객님의 신용카드가 반송된다고 말하며, 신용카드를 발급한 적이 없다고 하면, 고객님 정보유출로 인해 신용카드가 발급된 것 같으니 상급기관에 보고하겠다고 말하고 전화를 끊음
② 잠시 뒤 상급우체국(또는 중앙우체국) 과장을 사칭, 전화를 걸어 고객님의 신용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판단되니 유관기관에 신고를 하겠다고 말하고 전화를 끊음
③ 얼마 뒤 유관기관(금융감독원, 서대문경찰서 지능범죄수사대 등)을 사칭하며 전화가 걸려와 고객님의 신용정보가 유출되었으니 고객님의 예금을 안전한 계좌로 옮겨야한다면서 근처 금융기관 자동화기기창구에서 사기조직의 대포통장으로 계좌이체되도록 유도해 현금을 인출.
※ 유관기관을 사칭, 우체국직원이 고객정보를 유출한 것 같으니 절대 우체국직원의 말을 믿지 말라고 말하기도 함
◇ 예상되는 피해 위와 같은 전화문의에 응할 경우 집주소, 휴대폰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신용카드번호, 계좌번호 등이 노출되어 대포통장 개설, 대포폰 등 2차 범죄에 이용되거나 전화요금 청구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동화창구 현금인출기로 유도하는 경우 계좌이체 기능을 통하여 고객님의 예금이 사기조직 계좌로 이체될 수 있음.
◇ 예방요령 및 조치 우체국에서는 우편물 도착, 반송에 대한 안내시 자동응답시스템(ARS)를 이용하지 않으며, 그러한 안내는 문자메시지 또는 담당집배원이 직접 전화하여 안내하고 있습니다. 안내 시에도 주민등록번호, 신용카드번호, 계좌번호와 같이 개인정보와 관련된 사항은 절대 문의하지 않으니 그러한 전화에 응하지 않기 바라며, 만약 그러한 사례 발생시 즉시 수사기관(경찰청 ☎1379, 검찰청 ☎ 1301,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02-1336)에 신고하는 것이 좋다.
우체국택배를 사칭하지 않았더라도 전화를 걸어 개인정보를 묻거나, 더구나 금융기관의 자동화창구 현금인출기(ATM)를 조작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라면 전형적 사기전화 유형이니 각별히 유의하고, 우편물 상자 및 우편봉투를 버릴 때는 반드시 개인정보 유출에 주의해 개인정보가 기재된 부분을 떼거나 파기한 후 버려야 한다.
----
여기서 내가 당한 것은 2번의 방법이다.
회사에서 오전 10시경에 전화가 왔다.
ARS 메시지로
우체국입니다. 카드 우편물이 반송되었습니다. 다시 확인은 0번 상담원 연결은 9번입니다.
0번을 누르니 같은 메시지 반복...
왠 카드 인가 싶어서 9번을 눌렀다. (여기서 주의! 절대 이런 거 오면 9번 누르지 말것)
여기서부터 통화내용
나 : 우편물이 반송되었다고 하는데요? 무슨 문제죠?
상담원 여자 : 네. 카드 우편물이 반송되었습니다. 이름이 어떻게 되시죠?
- 여기서 나는 낚인 것이다. 우편물이 반송되었다면 이름은 그 쪽에서 당연히 알고 있는것이다.
절대 물어볼리가 없다. 하지만 이름에 대한 경각심이 무척이나 적은 나는 바로 말해줬다.
그리고 지금에서 와서 생각해보면 상담원 여자의 목소리는 너무나 어색했다. 발음도 부정확하고 사투리도 섞인 듯하고... 여기서 사기란 것을 눈치 챘어야 했음.
나 : 네. 김재원입니다. 그리고 전 카드 신청한 적이 없는데요?
상담원 : 네. 5월 28일자로 LG 카드 신청되었는데 부재 중이라 반송처리 되었습니다.
나 : LG카드는 신청한 적도 없고, 부재 중이라니 주소가 어떻게 되어 있는데요?
상담원 : 뭔가 이상하네요. 여기서 알고 있는 주소지는 인천시...어쩌고...
나 : (왠 인천?) 뭔가 잘 못 된 것 같네요.
상담원 : (여기서 목소리가 이상해짐, 급 흥분? 비슷한 느낌) 주소지가 다른데, 카드가 신청된 것을 보니 명의 도용 당하신 것 같네요.
나 : (여기서 이상함을 느꼈고, 번호를 물어봄) 명의 도용이라 제 번호가 어떻게 되어있죠?
상담원 : 031-XXX-XXXX 입니다.
- 그 번호는 핸드폰 번호가 아니라 회사 번호였다. 회사 번호가 바로 핸드폰으로 연결되기에 이쪽으로 온 듯
나 : 그렇군요. 명의 도용이라... 어떻게 된 건지 원...
상담원 : 명의 도용으로 인한 카드 발급 관련해서 신고접수 해 드리겠습니다. 본인 확인을 위해서 주민번호가 어떻게 되시죠?
- 여기서 완벽하게 파악했다. 이 놈들 사기꾼들!!!
우체국에서 카드 신고접수라... 게다가 주민번호 요구에 나의 보안 경각심이 발동했다.
카드 배송만 담당하는 우체국에서 아주 다양하게 구는구나...
원래는 여기서 전화를 끊었어야 했지만, 시니컬한 나는 바로 도발을 걸기 시작했다.
나 : 주민번호라... 제가 바로 알려드릴 수는 없고, 그쪽에서 절반 내가 절반 불러볼까요?
상담원 : (당황한 목소리) 저기... 고객님의 명의가 도용당했고, 그에 따라 저희가 신고절차를 밟는 거구요. 신고 접수를 위해 주민번호를 알려주셔야죠. 그리고 저희는 지금 고객님을 믿을 수가 없거든요. 전화번호와 김재원 씨 라는 명의만 파악된 상태에서 본인 확인을 해야 신고 접수를 하죠.
- 나를 못 믿겠다라... 나도 마찬가지 거든...
나 : 그러니까 그쪽에서 주민번호를 다 불러서 저에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알려달라는 거고, 그걸로 저도 그쪽을 믿는 거고, 제가 나머지를 불러드림으로써 제 본인확인도 하는 거죠.
상담원 : 불러드릴수 없거든요. 제가 본인명의 확인을 해야...
- 여기서 더욱 웃긴건 상담원의 목소리가 당황하면서 정체를 들어내기 시작했다. 조선족의 말투... 딱이다. 중국에서 한국어를 쓸 수 있는 사람... 조선족 아줌마가 정체로군...
나 : 제가 언제 다 불러달라고 했어요? 그쪽에서 앞자리만 대시죠? 그럼 제가 뒷자리를 알려드릴테니...
상담원 : (급 당황) 네. 알겠습니다. 바로 신고접수 해드릴꺼구요. 경찰서에서 연락올테니 그때 명의 확인 하세요. 뚝!
이렇게 사기 전화는 끝...
이 뭐 완전 기분 이상하네. 바로 인터넷 검색 후 나와 동일한 사건임을 파악...
5분여뒤 경찰서 사칭 전화가 온다...
자칭 경찰관 : 안녕하세요. XXX 경찰서 이XX입니다. 사기 접수건으로 연락드렸습니다.
나 : 네. 그러세요? (빈정거리는 말투)
자칭 경찰관 : 김재원씨 명의 도용때문에 접수받았구요. 몇 년도 생이시죠?
- 이 녀석 다짜고짜 내 정보를 요구하는군...
나 : 몇 년도 생이라... 안 가르쳐 드릴껀데요? (빈정거리는 말투 X 2)
자칭 경찰관 : 이봐요. 사기 접수 받았거든요. 개인 확인을 해야...
- 여기서 나의 공격
나 : 네. 지금 제가 사기당하고 있네요. 사기 접수가 아니라 사기 당하는 중입니다. 경찰관 아니시죠?
자칭 경찰관 : 네? 이봐요... 사기관련해서 영장 발부할테니까 알아서 하세요.
- 왠 영장... 어이가 없으심-.-
자칭 경찰관 : (전화를 끊었다.)
어쨌든 이들은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국제전화를 수신자 부담으로 걸어서 요금을 빼내는 수법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어떻게 되었을지 모르겠습니다.
* 실제로 한국통신(KT)의 경우 국제요금 부과가 3일정도 후에 확인되는데, 실상 지금까지 이런 사기 전화로해서 어떤 국제요금이 부과된 적은 없다고 합니다.
만약, 이런 사기 전화로 인하여 국제전화요금등 부당한 요금이 부과될 경우, 한국통신(또는 다른 전화통신사)과 같은 통신회사측에서는 어찌할 방법이 없고, 그렇게 부과된 요금 명세서를 가지고, 가까운 경찰서나 사이버 경찰청에 신고해서 처리하는 것이 가종 좋다고 합니다.
어쨌든 다행히 정보라고는 이름만 넘겼기에 크게 유출된 사례는 아니지만 시니컬 모드로 괜히 오래 통화한 듯합니다. 8분정도?? 정보누출은 막았지만 국제 전화 요금이라도 나온다면...
요금 나오면 꽤 슬플 듯... (불행 중 다행은 회사 전화라서 크게 돈이 나가기 전에 막힐 듯...)
'[右腦]우뇌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 분실했습니다. (7) | 2008.08.09 |
---|---|
삼성 조직 개편!!! (2) | 2008.05.22 |
취업전쟁 (4) | 2007.11.26 |